맨위로가기

프린스 에드워드 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린스 에드워드 역은 홍콩 MTR의 췬완 선과 군통 선의 환승역으로, 1982년 개통되었다. 2019년 홍콩 시위 당시 경찰의 역 내 무력 진압으로 논란이 되었으며, 이후 시위대의 CCTV 영상 공개 요구와 MTR의 기물 파손 비난이 이어졌다. 역은 섬식 승강장 2면 4선 구조를 갖춘 지하역이며, 다양한 상점과 자동화 서비스 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변에는 몽콕 경기장, 몽콕 경찰서 등이 위치하며, 여러 버스 노선과 미니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췬완선 - 조던역
    조던역은 홍콩 지하철 췬완 선의 지하역으로, 조던 로드와 네이선 로드의 교차로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호텔과 구룡 공원 등의 명소가 있고, 2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췬완선 - 다이워하우역
    다이워하우역은 1982년 5월 10일 췬완 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홍콩의 철도역으로, 아오키 건설과 도비시마 건설이 건설에 참여했으며, 역 주변에는 주요 시설과 상업/주거 지역이 혼재되어 다양한 교통 수단을 제공하지만, 최근 휠체어 접근성, 시각 장애인 편의 시설 부족, 안전 문제 등으로 시설 개선과 안전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군통선 - 람틴역
    람틴역은 1989년 개통된 철도역으로, 동구해저도로 개통 후 교통의 요충지로 발전하여 현재 홍콩 지하철 정관오선 EHC 노선으로 운영되며, 주변에 다양한 편의시설과 대중교통 연계성을 제공한다.
  • 군통선 - 군통역
    군통역은 홍콩 MTR 역으로, U2 승강장은 서울/인천 방향으로 운행되며, U1 대합실은 편의시설을 갖추고 다양한 출입구를 통해 여러 장소와 연결되고, 버스 및 미니버스 노선으로 접근 가능하다.
  • 야우짐웡구 - 네이선 로드
    네이선 로드는 1861년 완공된 홍콩 구룡 지역의 주요 도로이며, 1909년 매튜 네이선 총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5개의 MTR 역과 다양한 랜드마크가 주변에 위치해 있다.
  • 야우짐웡구 - 짐사저이
    침사추이는 홍콩 야우짐웡 구에 위치한 '뾰족한 모래톱'이라는 뜻의 지명으로, 관광, 쇼핑, 숙박 시설이 밀집된 홍콩의 주요 관광지이며 빅토리아 항과 스타의 거리 등이 있는 명소이다.
프린스 에드워드 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2022년 5월 4번 (앞) 승강장, 3번 (뒤) 승강장
2022년 5월 4번 (앞) 승강장, 3번 (뒤) 승강장
역 이름프린스 에드워드
원래 이름太子 (타이쯔)
언어중국어
로마자 표기표준중국어: Tàizǐ
광둥어: Taaizí
예일: Taai3 zi2
위치홍콩 구룡야우침웡 구몽콕 네이선 로 × 프린스 에드워드 로 교차점
운영사홍콩철로유한공사
개업일1982년 5월 10일
역 번호PRE
운영 정보
노선군통 선
췬완 선
역 구조지하역
승강장2면 4선 (섬식 승강장)
깊이2층 (대합실 제외)
선로 수4
접근성지원
연결
버스버스
미니버스
기타본토 중국행 코치
서비스
췬완 선이전 역: 몽콕 역
다음 역: 삼서이보 역
군통 선이전 역: 몽콕 역
다음 역: 섹킵메이 역
통계
승객 수알 수 없음

2. 역사

프린스 에드워드 역은 관탕선과 췬완선을 연결하는 환승역으로 설계되었으며, 1982년 5월 10일 췬완 선 개통과 함께 문을 열었다. 초기에는 환승역으로만 운영되다가, 같은 해 5월 17일에 모든 역 출구가 개방되었다.

1982년 이전까지는 역이 완공되었으나, 사용되지는 않았다.

2019년에는 2019-20년 홍콩 시위와 관련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2][3][4]

2. 1. 초기 역사

프린스 에드워드 역은 본래 군통 선과 췬완 선의 평면 환승이 가능한 역으로 설계되었다. 1979년에 군통 선 선로가 건설되었으나, 역은 1982년 5월 10일 췬완 선 개통 전까지 사용되지 않았다.[1] 개통 첫 주에는 대합실이나 출구 없이 환승역으로만 운영되었다.[1] 1982년 5월 17일 모든 출구가 개방되었다.[2]

2. 2. 2019년 프린스 에드워드 역 공격 사건

2019년 8월 31일 저녁, 범죄인 인도 법안 반대 시위가 진행되는 가운데, 홍콩 경찰은 프린스 에드워드 역을 급습하여 승객들을 구타하고 열차 내에서 후추 스프레이를 발사하는 모습이 촬영되었다.[1] MTR은 이 사건 동안 역을 폐쇄했고, 경찰은 의료진의 진입을 거부했다.[2]

이후 이 역은 지속적인 갈등의 쟁점이 되었으며, 시위대는 MTR에 8월 31일 저녁의 CCTV 영상을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3] 프린스 에드워드 역 사건과 더불어, MTR이 베이징에 굴복했다는 인식 (중국 관영 매체의 비판 이후 시위 근처 역을 폐쇄함으로써)은 다른 MTR 역의 기물 파손으로 이어졌다. MTR은 기물 파손을 비난하고 관련 CCTV 영상을 3년 동안 보관할 것이라고 밝혔다.[4]

경찰의 시민 공격 동영상


홍콩의 범죄인 인도 조례 반대 시위가 격화되면서, 프린스 에드워드 역 구내 및 정차 중인 열차 안에서 경찰의 특수전술소대 대원들이 일반 시민을 포함한 승객을 무차별적으로 구타하여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했다.[9][10]

3. 역 구조

프린스 에드워드 역은 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춘 지하역이다. 지하 2층(L2)에는 군통 선 웡보 방면 승강장(2번)과 췬완 선 췬완 방면 승강장(1번)이 있고, 지하 3층(L3)에는 군통 선 티우겡렝 방면 승강장(3번)과 췬완 선 중완 방면 승강장(4번)이 있다. 군통 선 하행(티우겡렝 방면)과 췬완 선 상행(췬완 방면), 군통 선 상행(웡보 방면)과 췬완 선 하행(중완 방면) 간의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역의 상징색은 밝은 보라색이다.[6]

프린스 에드워드 역의 개찰구와 승강장을 잇는 에스컬레이터

3. 1. 층별 구조

프린스 에드워드 역은 군통 선과 췬완 선 간의 환승역으로, 효율적인 환승을 위해 독특한 구조로 설계되었다. 이 역은 반대 방향 환승을 위한 평면 환승역으로, 군통 선 하행(티우겡렝 방면) 승강장은 췬완 선 췬완 방면 승강장과 연결되고, 췬완 선 하행(중완 방면) 승강장은 군통 선 상행(웡보 방면) 승강장과 연결된다.[12] 웡곡 역도 평면 환승역이지만, 같은 방향으로 환승이 이루어지는 반면, 프린스 에드워드 역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다.[5]

역은 총 4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시설
G지상, 출입구
L1중앙홀, 고객 서비스, MTR 샵, 자판기, ATM, 옥토퍼스 카드 충전기
L2섬식 승강장, 췬완 선 췬완 방면(1번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군통 선 웡보 방면(2번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L3섬식 승강장, 췬완 선 중완 방면(4번 승강장, 왼쪽 문 열림), 군통 선 티우겡렝 방면(3번 승강장, 왼쪽 문 열림)


3. 2. 출입구

프린스 에드워드 역의 출입구는 모두 네이선 로드의 한 블록 내에 위치하며, 남쪽의 프린스 에드워드 로드에서 북쪽의 플레잉필드 로까지 뻗어 있다.[13][7] 역은 애초에 정거장이 아닌 환승역으로만 지어졌기 때문에 출구가 7개뿐이다. 이는 웡곡 역(몽콕 역)의 출입구가 15개인 것에 비하면 현저히 적은 수다.[14][8]

출구 번호출구 표시목적지
A몽콕 경기장중국은행 태자 빌딩, 실내 운동장, 몽콕 경기장, 운동장도, 경찰 체육 유락회, 사이예이 북가, 타이포 로드
B1
몽콕 경찰서화서도, 몽콕 경찰서, 태자도 서쪽, 원포 거리 조류 화원
B2 몽콕 경찰서백휘헌, 연합 광장, 옥옥서, 화원가, 시초 중심, 사이예이 남가
C1몽콕 웨이징 호텔장영 빌딩, 금도 상가, 합영 상업 중심, 미도, 프린스 - 람마 시티
C2몽콕 웨이징 호텔레이치콕 로드, 리보춘 건강원, 몽콕 웨이징 호텔, 포트랜드 스트리트, 좡카이청 예과 서원, 탕와이 로드, 탕와이 로드 관립 초등학교, 다이난 스트리트
D여우저우 스트리트백수 거리, 홍콩 보호 아동회, 기륭 거리, 백양 거리, 여우저우 거리
E창사완 로드계한가, 창사완 로드, 펑슈 스트리트 경기장, 바이이 센터
시각 장애인 유도 경로가 설치됨 휠체어 리프트가 설치됨


3. 3. 역내 시설

역 상점자동 서비스


4. 인접 교통

프린스 에드워드 역은 홍콩의 주요 대중교통 환승 거점 중 하나로, 다양한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홍콩 철도 (MTR) 관통선과 취안완선이 이 역을 지난다.[1]

이 역에서는 구룡 버스, 신세계 제일 버스, 시티버스, 터널 버스, 미니버스 등 다양한 버스 노선과 몽콕 이스트 역으로 연결되는 동철선을 이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4. 1. 도시 간 버스 (Cross-border bus)

선전, 둥관, 광저우로 가는 도시 간 버스 정류장이 플레잉필드 로(A 출구) 또는 포틀랜드 스트리트(C2 및 D 출구)에 있다.

4. 2. 기타 대중교통


  • MTR: MTR|엠티알영어
  • * East Rail Line|동철선영어: 몽콕 이스트 역 (도보 연결)[1]

회사노선
구룡 버스1, 1A, 2, 2A, 3C, 6, 6C, 6F, 24, 27, 30X, 33A, 35A, 36B, 37, 41, 41A, 42, 42A, 43C, 44, 45, 46, 58X, 59X, 60X, 63X, 66X, 67X, 68X, 69X, 81, 87B, 87D, 93K, 95, 98C, 203C, 230X, 234X, 238X, 265B, 281A, 296C[1]
신세계 제일 버스701, 701S, 796C[1]
시티버스A21, E21, E21A[1]
터널 버스102, 102P, 102R, 104, 112, 117, 118, 118P, 171, 171P, 904, 905, 970, 970X, N118, N122, N171[1]


  • 미니버스

종류노선
전선 미니버스3, 12A, 12B, 5M, 27M, 28M, 30A, 46, 79K, 17M (구룡 병원 ↺ 프린스 에드워드 역)[1]
기타12, 21K, 46, 70[1]


5. 주변 지역


  • 네이선 로드 종점
  • 몽콕 경찰서
  • 몽콕 위징 호텔
  • 제경 호텔
  • 신세기 광장 (쇼핑몰)

6. 인접역

노선역명
군통선홍콩 지하철왕자우 역 - 프린스 에드워드 역 - 섹깁메이 역
췬완선홍콩 지하철왕자우 역 - 프린스 에드워드 역 - 삼수이보 역


참조

[1] 뉴스 Violence erupts across Hong Kong as police fire ‘warning shots,’ MTR closes 5 lines and officers storm train carriage https://www.hongkong[...] 2019-09-01
[2] 뉴스 Hong Kong reels from chaos: 3 MTR stations remain closed, police defend storming trains, more demos planned https://www.hongkong[...] 2019-09-01
[3] 뉴스 Hong Kong lawmaker and protesters demand CCTV footage of police storming MTR station https://www.hongkong[...] 2019-09-06
[4] 웹사이트 MTR Does Not Tolerate Any Violence or Malicious Act Causing Damage https://www.mtr.com.[...] MTR Corporation 2019-09-08
[5] MTRsource 2014-07-29
[6] 웹사이트 Why are Hong Kong's MTR stations different colours? Central is red for a reason, and why Prince Edward is purple might surprise you http://yp.scmp.com/n[...] 2016-11-17
[7] MTRsource 2014-07-29
[8] MTRsource 2014-07-29
[9] 뉴스 香港の地下鉄駅に「消えた3人」の祭壇…当局への不信なお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9-09-13
[10] 뉴스 いらだつ香港警察、強硬策が火に油 デモ隊「黒社会だ」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9-09-02
[11] 웹인용 Why are Hong Kong's MTR stations different colours? Central is red for a reason, and why Prince Edward is purple might surprise you http://yp.scmp.com/n[...] 2016-11-17
[12] MTRsource 2014-07-29
[13] MTRsource 2014-07-29
[14] MTRsource 2014-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